주제
여주시 가옥의 특징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여주의 민가를 중심으로 한 가옥 구조를 살펴볼 때, 대들보 밑에 방을 일렬로 배치한 형태로, 우리나라의 서부지역과 남부지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단열형 민가가 대부분이다.1) 단열형의 민가는 그 방의 배치와 외형에 따라 중부지방에서는 ㄴ자형 민가가, 그리고 남부지방에서는 ㅡ자형 민가로 나뉘어 분포하는데, 여주의 민가는 일반적으로 ㄴ자형 민가가 주류를 이루고 ㅡ자형 민가도 함께 나타나는 등 양 형태의 혼합지역 또는 점이지역의 특색을 보인다. 따라서 대체로 단열곡가형의 안채에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사랑방을 이루는 ㅡ자형 단열직가형의 가옥이 배치되어 외형상 전체적으로 폐쇄적 구조를 보이는 것이 중류 농가의 보편적 형태이다.

대개 마을의 중심부에서 이러한 형태의 민가가 나타나고, 주변부에는 하류 농가의 전형적인 모습인 ㄴ자형, 또는 ㅡ자형의 가옥 한 채만이 배치되어 있어,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점이지대적 특색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방의 수는 2~4개 정도이나 경제력의 차이에 따라 개수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가옥은 ㄱ자 꺾음집이 가장 대표적인 유형으로 자리를 하고 있다. 지금은 거의 대부분의 집들이 개량되어 예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찾아보기가 힘들지만 원래의 평면을 그대로 유지한 채 벽체와 지붕만을 새로운 재료로 마감하고 부엌을 현대식으로 고쳐서 쓰고 있는 예들은 많이 보였다.

안채의 평면은 이 지역 ㄱ자집의 전형적인 형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실의 구성 내용은 안방, 마루, 건넌방, 봉당, 그리고 부엌이다.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마루가 위치하고, 봉당은 외부에서 마루로 올라와 집안으로 진입하는 전이공간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부엌은 안방과 연결되어 있으며 안방 벽면 쪽으로 아궁이가 설치되고 아궁이에는 3개의 솥을 걸었다. 솥의 크기는 각기 다른데 ‘큰솥’, ‘가운데솥’, 그리고 ‘옹솥’이라고 부르며 각각의 쓰임이 다르다.

집이 ㄱ자로 꺾어진 안쪽부분은 직각으로 처리되지 않고 건넌방과 부엌의 기둥을 이어서 사선을 이루고 있는데, 이와 같이 만듦으로써 공간을 좀더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공간 사용이 좀더 편리해진다. 이렇게 하여 생긴 공간을 ‘봉당’이라고 부른다. 지금은 집들을 개량하면서 봉당 공간까지를 마루로 확장하여 사용하고 전면에도 문을 달아 내부 생활공간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집들이 대부분이다.

ㄱ자집의 또 하나의 특성은 부엌의 전면벽이 안방선과 나란하지 않고 반 칸 정도가 안방벽보다 돌출되어서 안방에서 부엌으로의 출입이 마당을 거치지 않고 내부에서 바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이는 부엌의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는 동시에 저장도 더 많이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식의 안방, 마루, 부엌의 연결은 경기도의 전형적인 ㄱ자집의 작은 변형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집의 평면이 연결되는 순서는 마찬가지이지만 각 실들간의 맞물리는 부분에 약간의 변화를 취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 목적이다.

원래는 마당에서 봉당을 거쳐 집내부로 들어오는 곳에는 문이 없었기 때문에 마루가 지금처럼 겨울철에 완전한 내부공간으로 사용되지는 못하였을 것이다. 다만 집 내부에서 각 실들간의 동선을 연결시켜주고, 수장공간으로 쓰이는 것이 가장 큰 기능이었을 것이다. 같은 형식의 평면을 가진 ㄱ자집도 산간지역이나 도서에 있는 경우는 집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에 두꺼운 판문을 달아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차단하는 폐쇄적인 입면을 구성하지만 이 지역은 마루의 전면이 개방됨으로써 겨울철 기후에 많은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집에 따라서는 부엌 옆으로 한 칸이나 한 칸 반을 더 내어서 김치광 혹은 찬광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혹은 마당에 따로 짚으로 김치광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안방은 집안 어른들이 사용하고, 두 분이 다 돌아가실 때까지 안방은 아들네에게는 넘겨주지 않는다. 이 지역의 풍습상 안방물림은 집안 어른이 살아계시는 동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안채의 전면에서 보아서 부엌으로 들어가는 문이 대문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복대문’ 혹은 ‘봉문’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대부분의 경우 안채 이외에 대문간과 외양간이 포함된 바깥채가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었으며, 장독대와 우물은 부엌에서 사용하기 편한 곳에 있었다.

ㄱ자집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예외적으로 부엌 옆으로 나란히 방이 이어지는 一자집도 있다. 또 집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오룡집’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이는 아마도 ‘오량(五樑)집’에서 나온 이름으로 생각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