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여주지역의 4·19혁명 양상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부정선거 규탄시위는 4월 11일 제2차 마산봉기로 다시 격화되었다. 더욱이 이승만은 4월 15일 마산사건이 “공산주의자들에 의하여 고무되고 조정된 것”이라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하여 학생들을 더욱 분노케 하였다. 4월 18일에는 서울에서 시위하고 있던 고려대 학생들이 경찰의 비호를 받는 반공청년단에게 습격을 받았다. 4월 19일 약 3만여 명의 학생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그중 수천 명이 경무대(景武臺)로 몰려들었다. 당황한 경찰은 시위대에 총격을 가하기 시작하였고 시위는 더욱 격렬해졌다. 서울에서만 자정까지 130명이 죽고 천여 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정부는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하여 사태를 수습하려고 하였으나 군부(軍府)는 이승만에 협조하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미국에게 서울지역의 군사지휘권을 잠정 이양받아 비상계엄을 강화하였으나 시위는 계속 확산되었다. 반공친미(反共親美) 정권 유지에 이해 관계가 걸려 있던 미국은 4월 19일에 민주적 재선거 실시와 언론·집회의 자유 보장 등 8개항의 수습방안을 정부에 제시한 데 이어, 다음날에는 민주화 촉구 성명을 발표하여 이승만정권의 붕괴를 막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4월 19일 이후에도 시위가 연일 계속되었으며 이제 일반 시민까지 가세하였다. 4월 21일에는 내각이 총사퇴하여 상황을 조기에 수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4월 22일에는 재야(在野) 인사들의 이승만 퇴진 요구와 4월 25일 대학교수단의 시위를 계기로 더욱 확산되었다. 4월 26일 전국에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자 이승만은 이기붕을 사퇴시키고 선거 무효를 선언하였으나 전국민적 공분(公憤)을 무마할 수는 없었다. 결국 이승만은 4월 27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이승만이 물러난 후 허정(許政, 1896~1988)을 수반으로 한 과도정부(過渡政府)가 구성되고 내각책임제로 개헌하고 총선거를 실시하였다. 결국 1960년 7월 29일 총선거를 통해 장면을 총리로 한 민주당 정권이 출범하였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