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개관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예로부터 황효(黃驍), 영의(永義), 황려(黃驪), 여강(驪江), 여흥(驪興), 황리(黃利) 등으로 불린 여주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하여 동·서·남·북으로 원주시, 이천시, 남양주시, 충주시, 음성군 등에 둘러쌓여 있다. 이 지역은 여주·이천평야는 물론 남한강 수로와 연결되어 교통은 물론 군사적인 중요성도 강조되었던 요충지라 할 수 있다.

여주에 불교1)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군내에 현재 존재하는 많은 유적·유물을 통하여 이미 오래 전 불교의 영향력 속에서 여주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문화가 형성되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여주에서 통일신라대까지의 불교의 전개와 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유적과 유물은 많지 않다. 764년(신라 경덕왕 23)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고달사지(高達寺址)와 점동면 원부리에 있던 원향사지(元香寺址) 등 약간의 사실들만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곳에서는 통일신라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주지역에서 중요했던 사원을 중심으로 여주의 불교문화와 그 특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불교재산관리법」에 의하여 등록된 18개 종단이 있다. 한국 최대의 통합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을 비롯하여 대한불교진각종(大韓佛敎眞覺宗)·대한불교진언종(大韓佛敎眞言宗)·대한불교불입종(大韓佛敎佛入宗)·대한불교법화종(大韓佛敎法華宗)·한국불교법화종(韓國佛敎法華宗)·대한불교일승종(大韓佛敎一乘宗)·대한불교천태종(大韓佛敎天台宗)·대한불교원효종(大韓佛敎元曉宗)·대한불교화엄종(大韓佛敎華嚴宗)·대한불교총화종(大韓佛敎總和宗)·대한불교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천화불교(天華佛敎)·대한불교미륵종(大韓佛敎彌勒宗)·대한불교정토종(大韓佛敎淨土宗)·대한불교용화종(大韓佛敎龍華宗)·대한불교보문종(大韓佛敎普門宗) 등이 있다. 한편 통합종단의 구성에 반대하여 따로 세운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이 있다.

사찰 수는 5,700여 개소이며, 승려가 2만여 명, 신도수 1,300만여 명이라고 알려져 있다. 『불교신문』을 비롯하여 각 종파2)·단체들에서 정기간행물도 30여 종이 나오고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